제품소개

공간 탈취 방식 비교

구분 바이오필터 약액세정탑 바이오 클러스터
설치예
원리 악취가스를 자양분으로 하는 미생물에 의해 악취가스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시키는 방법 기액 접촉에 의해 악취가스를 약액으로 흡수시켜 화학적으로 중화시키는 방법 전기에너지에 의한 방전을 유도하여, 악취물질을 산화, 분해하는방법
장점
  • 미생물 정상활동시 악취제거효율 우수
  • 하수처리시설에 적용실적 다수
  • 악취 성상에 따라 설비구성의 조절가능
  • 장치가 비교적 간단
  • 설치공간이 적고 운영비가 저렴
  • 대풍량 중,저농도 악취처리에 효과적
단점
  • 대풍량 처리시 공사비와 운영비가 크게 증가
  • 대풍량 설치시 설치면적이 크게 증가
  • 대풍량 처리시 공사비와 운영비가 크게 증가
  • 대풍량 설치시 설치면적이 크게 증가
  • 고농도 악취적용시에는 단독방식으로는 처리가 어려움

공간 탈취 방식 비교(700 CMM 기준)

구분 바이오필터 약액세정탑 바이오 클러스터


기본전력비 114.4㎾×8,050원/㎾h×12월 =11,051천원/년 106.5㎾×8,050원/㎾h×12월 =10,288천원/년 9.0㎾×8,050원/㎾h×12월 =869천원/년
사용전력비 [(96.4㎾×24hr)+(18.0㎾×6hr)] × 87.11원/㎾h×365일= 76,995천원/년 106.5㎾×87.11원/㎾h×24hr× 365일=81,268천원/년 9.0㎾×87.11원/㎾h×24h×365일 =6,867천원/년
소 계 88,046천원/년 91,556천원/년 7,736천원/년
기자재비 1,003,200천원 825,000천원 350,000천원/년
기기보수비 1,003,200천원×1%/년 =10,032천원/년 825,000천원×1%/년 =8,250천원/년 350,000천원×1%/년 =3,500천원/년
자본회수비 1,003,200천원×0.1314 =131,820천원/년 825,000천원×0.1314 =108,405천원/년 350,000천원×0.1314 =45,990천원/년
년간총경비 229,898천원/년(402%) 208,211천원/년(364%) 57,226천원/년(100%)
선정사유 초기 투자비와 유지관리비가 가장 저렴하며 타 방식에 비해 설치공간이 매우 작아,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므로 이온클러스터 방식으로 선정함

업체별 비교

구분 호주-PROMED 스위스-Wulute 국산-바이오 클러스터
설치예
원리 방전관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유전체 표면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공기분자에 에너지를 가하여 산소/이온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악취성분과 반응하여 분해하는 원리이며, 사용전압은 220v로 동일함.
납품실적
  • 이천시 하수처리장
  • 대구시 침출수처리장
  • 목포 음식물처리장
  • 하남시 유니온파크
  • 인천 가좌하수처리장
  • 광주시 남한산성하수처리장
  • 제주시 제주하수처리장
특징
  • 기자재비가 가장 고가임
  • 전처리용 필터가 없어 기기의 내구성이약함
  • 외산으로 기자재비가 고가임
  • 전처리용 필터가 없어 기기의 내구성이 약함
  • 국내 특허제품임
  • 국산화 제품으로 경제성이 우수함
  • 전처리용 필터 설치로 내구성이 우수함